¶자원에 위협 논문발표
미국의 IT 대기업 구글의 협력하에 있는 미의 민간 비영리 단체(NPO)의 글로벌·피싱·워치(GFW)나 수산 연구·교육기구 등 8개의 연구 기관은 미국 시간 22일, 중국 어선이 북한 수역에서 대량의 오징어 어획을 하고 있다고 나타내는 논문을 공표했다. 북한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제재를 무시한 중국 선박의 불법 어획과 관련해 2017~2018년 추정 어획량 16만 t은 같은 기간 한일 합계 어획량과 맞먹고 470억엔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 어획이 오징어 자원에 위협이라고 결론지었다.
같은 날에 과학 잡지 「사이언스·어드밴시스」에 실린 논문 「북한 해역의 보이지 않는 어선을 백일하에」의 편집에는, 수산 연구·교육 기구나 GFW외, 호주나 한국등의 8 연구기관이 협력. 인공위성으로부터의 선박의 광학 화상· 집어등 화상·레이더등의 정보와 선박 자동 식별 장치(AIS)의 정보를 조합해 위법 어선의 움직임을 찾아냈다.
논문 분석에서는 북한에서 불법 조업한 중국 어선이 2017년 900척, 2018년 700척을 넘어섰다. 이들 배가 한국 연안어선과 비슷한 효율(어획노력량당 어획량 = CPUE)로 조업하고 있다면 어획량은 16만 t으로 한일 합계어획량과 맞먹고 어획액은 약 470억엔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이들 중국 선박은 중국 당국의 관할 밖에서 조업하는 무등록·무기국·무허가선일 가능성이 있고 설사 중국과 북한 양국의 허가를 받은 조업이라 하더라도 유엔 규칙을 위반한다.이들 중국 선박은 쌍끌이나 집어등이 달린 씌운 그물 등을 영위하는 대형 선박으로, 대형선박에 쫓긴 북한의 소형 어선이 인접하는 러시아 수역으로의 활동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도 집어등 데이터등에서 나타났다. 또 러시아 수역에 나온 북한 선박의 상당수는 불법적이고 허술한 장비를 갖고 출항하는 바람에 많은 북한 어민이 사망 사고를 당한 것으로 추정됐다.
GFW 박제연 수석데이터연구원은 "복수의 인공위성 데이터를 통합해 제대로 된 상황 해석을 했다. 알려진 한, 이 어업은 단독국이 타국에서 행한 위법 어업으로서 최대의 사항일 것이다」, 동 기구의 미야하라 마사노리 이사장은 「이 해역에서의 위법 어업이나, 데이터 공유와 관리의 결여는 큰 문제. 신뢰할 수 있는 과학연구에 기초해 어려움에 대처해야 한다고 말했다.
17년, 유엔 안보리는, 미사일 실험을 계속하는 북한에 제재 발동. 중국을 포함한 각국은 ①북한으로부터의 수산물 입수 ②유엔 승인 없이 북한과의 합작 기업 활동 ③북한으로부터의 어업권 이양 및 매입을 금지했다.또 이 기구 등에 따르면 일본 근해의 오징어 개체군 2개는 2014년 총 253만 t의 자원이 있었으나 지난해에는 77만 t으로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작년의 일본의 오징어 어획량은 3·3만 톤으로 현행 통계 사상 최저. 동 기구 담당자에 의하면 근년 「산란해야 할 어미가 부족해, 환경 조건이 나쁘지 않은 해에도 자원이 회복되기 어렵다」는 상황. 법적으로도 자원적으로도, 중국의 북한에서의 오징어 잡이는 문제라고 할 수 있는 상황이다.
미나토신문 7/27 ( https://www.minato-yamaguchi.co.jp/minato/e-minato/articles/103466 )